
6차 재난지원금이 확정되었습니다. 그중 특고 프리랜서에게 고용안정 지원금이 100만 원!!! 지원됩니다. 또한 대상자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으니 대상자에 해당하는지,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꼭! 살펴보시기 바랍니다. ✔ 100만 원 ~ 200만 원 지원 ✔ 5차 지원금 제외 업종 포함 ✔ 5월 말 ~ 6월 초 신청 및 지급 6차 재난지원금 총정리 바로가기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신청 일정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은 각 시도 마다 차이가 있으며, 서울시는 곧 신청 예정입니다. 아래를 통해 지역별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 우리 지역 "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일정" 확인하기 ✔서울특별시 ✔부산광역시 ✔대전광역시 ✔대구광역시 ✔울산광역시 ✔광주광역시 ✔인천광역시 ✔경기도 ✔세종시 ✔경상북도 ✔경상남도 ✔강원도 ✔충청북도..

서울에 거주하는 임산부 모두에게 1인당 70만 원의 교통비를 지원합니다. 오세훈 시장의 공약이기도 한 이 사업은 전국 최대 규모이며 전액 시비로 지원합니다. 온라인 접수일이 다가오고 있으니 서두르세요!!! ∨ 신용카드, 체크카드 포인트로 지원 ∨ 70만원 지원 ∨ 협약한 카드사 카드 가능 ∨ 대중교통 및 유류비 가능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서울시와 협약한 카드사에서 신청이 가능하며, 임산부 명의의 신용카드, 체크카드 포인트로 지원합니다. 대중교통 뿐만아니라 자차 유류비 또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전국 최초로 유류비가 포함되었습니다.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▶협약 카드사의 카드를 소지한 경우 : 70만원의 바우처 포인트 지급 ▶협약 카드사의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: 바우처 포인트가 ..

윤석열 정부의 공약은 '임대료 나눔제' 들어보셨나요?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임대료를 1/3씩 나누어 부담하는 정책인 '임대료 나눔제'가 이르면 올해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.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▼임대료 나눔제 외 소식▼ ☞ 소상공인 최대 1,000만 원 지원금 신청 ☞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확정 ☞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신청 ∨ 이르면 올해부터 시작 ∨ 임대인, 임차인, 정부가 1/3씩 임대료를 부담 ∨ 임대인, 임차인에게 각각 혜택 제공 임대료 나눔제란? 임대인, 임차인, 정부가 3분의 1씩 임대료를 부담하는 정책입니다. 임대료 나눔제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사항이며 국정 과제입니다. 임대료가 300만 원일 경우, 임차인 임대인 국가가 각 100만 원씩 부담하는 제도입니다. 임대인 자영..

2022년 2회 추가경정 예산안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받은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지원 내용과 함께 민생/물가 안정을 위한 6차 재난지원금에 대한 내용도 발표되었습니다. 이르면 5월 말에 지급된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🔻6차 재난지원금과 함께 도움되는 글🔻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소식 코로나 자가격리 생활지원금 소식 노란 우산 공제 소식 💥 주의하세요! 기획재정부 공지사항입니다. 현재 기획재정부나 은행을 사칭한 문자 스미싱 피해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안내글 확인하시고 미리 인지하셔서 꼭 피해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. 재난지원금 스미싱 주의 안내문 우리 지역 "재난지원금" 확인하기 ✔서울특별시 ✔부산광역시 ✔대전광역시 ✔대구광역시 ✔울산광역시 ✔광주광역시 ✔인천광역시 ✔경기도 ✔세..

정부에서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사상 최대 추경을 편성했습니다. 모두가 기다리던 소상공인 손실보상금은 최소 600만 원, 최대 1000만 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. 가장 최근 확정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. ∨ 지원대상: 소상공인, 소기업, 중기업 ∨ 지원금액: 600만 원 ~ 1000만 원 ∨ 보정률: 90% → 100% 인상 ∨ 손실보상금 외 5개의 지원금 지급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최근 소식 ▶5월 11일,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370만 명에게 최소 600만 원을 지급하기로 협의함 ▶지원대상 -소상공인 -소기업 + 중기업(매출 10억~30억) ※금번 지원대상에 중기업도 포함됨 ▶지원금액 -업체의 매출 규모와 매출 감소율을 고려하여 최소 600만 원 ~ 최대 800만 원 지원 -매출이 40% 감소한 업종..

경기도 청년 기본소득, 1분기 신청하셨나요? 2분기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이 곧 다가오고 있습니다. 정확히 알고 있지 않으면 후회합니다. 제대로 알아보고 꼭 신청하세요! ∨ 지원 대상: 경기도 거주하는 만 24세 청년 ∨ 지원 금액: 분기별 25만 원 (연 100만 원) ∨ 지급 방식: 지역화폐 지급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이란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을 지원하기 위해 분기별 25 만원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 연간 100만 원을 지원받게 되는 기본소득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.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지원 대상 ▶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둔 만 24세 ▶ 최근 3년 이상 경기도에 거주하였거나 10년 이상(합산)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둔 청년 → 두 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함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지급..